맥스톤 플러그인이 웹마에 이용가능했었네요...
▶맥스톤 설치하기
http://maxthon.com/download.htm
맥스톤 사이트에서 클래식 버젼의 맥스톤을 깝니다. 2.0버젼을 깔지마세요...
▶플러그인 찾기
http://addons.maxthon.com/
이제 플러그인 사냥을 떠납니다.
위에 보이는 메뉴 중 PlugIns를 클릭하고 구미에 당기는 플러그인을 찾아나섭니다.
▷이제 플러그인을 선택하실 때 주의하실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Installed: 114, File size: 20.8 KB, Works with (■) (□)
사이트를 잘 보시면 위의 글이 적힌 부분 끝에 아이콘이 하나나 둘이 보일 것입니다.
클릭은 안되고 글이 뜰 겁니다. 'Works with Mathon2' 또는 'Works with Mathon1.x'이 보일 텐데
Mathon1.x가 적용되는 플러그인이 웹마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맥스톤2만 적용되는 플러그인은
웹마에서 이용 불가능합니다.
2. 사이드바에 적용되는 플러그인은 웹마에 적용이 안됩니다.
3. 압축을 푼후 dll파일이 있는 플러그인은 대부분 적용이 안됩니다.
4. 맥스톤은 플러그인이 깔리기만해도 플러그인이 활성화 되는 것 같습니다. 광고를 막아준다든지
팝업창제거등의 실시간 수행이 필요한 플러그인은 그다지 별 쓸모가 없는 것 같습니다.
▶원하는 플러그인을 찾으셨다면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
1. 다운 받으신 후 파일의 확장자를 m2p에서 zip으로 변경합니다.
2. 그리고 압축을 푼 파일을 맥스톤 플러그인 폴더에 넣은 후 맥스톤을 실행합니다.
플러그인설치를 묻는 창이 뜬 후 실행된 맥스톤에는 플러그인이 설치되어 있을겁니다.
3. 제대로 실행되는지, 원하는 기능인지 확인 한 후 웹마의 플러그인 폴더에 복사합니다.
4. 웹마에 플러그인을 설치 후 실행이 잘 되는지 확인합니다. 서브버튼의 설정창 등의 명령이 대부분
수행되지 않을 겁니다. 기본기능에 충실하면 됩니다.
플러그인이 동작이 안되면 미련없이 버립니다.
기능은 plug.ini나 애드온 홈페이지의 'Post comment'의 내용을 살펴보면 자세히 나와있을 겁니다.
플러그인 폴더명을 임의로 바꾸시면 안됩니다.
exe 실행 파일일 경우 ModuleType=EXE 를 dModuleType=EXEC로 수정해줍니다.
|